분류 전체보기
- test 2022.10.27
- adb push 2021.06.16
- rxjava 2021.02.04
- 맥용 람다 파라미터 단축키 2020.10.16
- rxandroid validation 2019.06.12
- 최초 실행시 layerActivity 에러 2019.05.30
- letsencrypyt 인증서 갱신 2019.05.27
- logger setting 2019.02.25
- Logger.d 2019.02.25
- 릴리즈 버전을 위한 키해시 등록방법 2019.02.08
- Retrofit2 + OkHttp3 2018.09.06
- keystore 2018.08.29
- nvm alias default 6.1.0 2018.08.19
- vi 사용법 2018.08.13
- 원격 저장소 추가 방법 2018.08.08
- merge tool 2018.08.08
- branch 2018.08.07
- 실행순서 2018.08.07
- 부하발생 명령어 2018.08.02 2
- 환경변수 2018.07.27
- 서버 세팅 2018.06.20
- 디버그 with development 2018.06.19
- blocked because of many connection errors 2018.06.12
- lets encrypt 설치 2018.05.17
- WinSCP 를 이용한 FTP 동기화 2018.05.13
- crontab 추가 2018.05.13
- pm2.json 파일 실행 2018.04.19
- Android Example 2018.04.19
- Online mysql table to java class generator 2018.04.19
- iwinV 포트 경로 2018.03.28
test
adb push
adb push 파일명 /sdcard/
'Android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맥용 람다 파라미터 단축키 (0) | 2020.10.16 |
---|---|
rxandroid validation (0) | 2019.06.12 |
최초 실행시 layerActivity 에러 (0) | 2019.05.30 |
logger setting (0) | 2019.02.25 |
Logger.d (0) | 2019.02.25 |
rxjava
생산자 (publisher)
doOnNext : 통지 콜백
subscribeOn : 데이타를 통지(publish)하는 쓰레드
구독자 (subscriber)
observeOn : 데이타를 처리하는 쓰레드
subscribe : 구독
onSubscribe : 데이타 통지할 준비가 돼었을때 알린다.
onNext : 데이타 통지
onComplete : 통지완료되었음을 subscriber(소비자)에게 알린다.
맥용 람다 파라미터 단축키
shift + ctrl + space
'Android' 카테고리의 다른 글
adb push (0) | 2021.06.16 |
---|---|
rxandroid validation (0) | 2019.06.12 |
최초 실행시 layerActivity 에러 (0) | 2019.05.30 |
logger setting (0) | 2019.02.25 |
Logger.d (0) | 2019.02.25 |
rxandroid validation
mCompositeDisposable!!.add(Observable.combineLatest(
RxTextView.textChangeEvents(etEmail).map { it.text().toString() },
RxTextView.textChangeEvents(etPw).map { it.text().toString() },
BiFunction { email: String, pwd: String ->
!TextUtils.isEmpty(email) && android.util.Patterns.EMAIL_ADDRESS.matcher(email).matches() && !TextUtils.isEmpty(pwd)
}).subscribe { s -> btnLogin.isEnabled = s })
'Android' 카테고리의 다른 글
adb push (0) | 2021.06.16 |
---|---|
맥용 람다 파라미터 단축키 (0) | 2020.10.16 |
최초 실행시 layerActivity 에러 (0) | 2019.05.30 |
logger setting (0) | 2019.02.25 |
Logger.d (0) | 2019.02.25 |
최초 실행시 layerActivity 에러
configurations.all {
resolutionStrategy.eachDependency { DependencyResolveDetails details ->
def requested = details.requested
if (requested.group == "com.android.support") {
if (!requested.name.startsWith("multidex")) {
details.useVersion "26.+"
}
}
}
}
'Android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맥용 람다 파라미터 단축키 (0) | 2020.10.16 |
---|---|
rxandroid validation (0) | 2019.06.12 |
logger setting (0) | 2019.02.25 |
Logger.d (0) | 2019.02.25 |
릴리즈 버전을 위한 키해시 등록방법 (0) | 2019.02.08 |
letsencrypyt 인증서 갱신
./letsencrypt-auto certonly -w /home/ubuntu/date -d 도메인주소
2번 renew 선택
'nodejs' 카테고리의 다른 글
nvm alias default 6.1.0 (0) | 2018.08.19 |
---|---|
서버 세팅 (0) | 2018.06.20 |
디버그 with development (0) | 2018.06.19 |
pm2.json 파일 실행 (0) | 2018.04.19 |
pm2 node.js 버전 업데이트 (0) | 2018.03.26 |
logger setting
//Logger
FormatStrategy formatStrategy = PrettyFormatStrategy.newBuilder()
.showThreadInfo(false) // (Optional) Whether to show thread info or not. Default true
// .methodCount(0) // (Optional) How many method line to show. Default 2
// .methodOffset(7) // (Optional) Hides internal method calls up to offset. Default 5
.tag("network") // (Optional) Global tag for every log. Default PRETTY_LOGGER
.build();
Logger.addLogAdapter(new AndroidLogAdapter(formatStrategy));
'Android' 카테고리의 다른 글
rxandroid validation (0) | 2019.06.12 |
---|---|
최초 실행시 layerActivity 에러 (0) | 2019.05.30 |
Logger.d (0) | 2019.02.25 |
릴리즈 버전을 위한 키해시 등록방법 (0) | 2019.02.08 |
Retrofit2 + OkHttp3 (0) | 2018.09.06 |
Logger.d
Gson gson = new GsonBuilder().setPrettyPrinting().create();
JsonParser jp = new JsonParser();
Logger.d("Request\nTkid : %s\n%s\n%s", Prefs.getString("Tkid", null), url.toString(), gson.toJson(jp.parse(sb.toString())));
'Android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최초 실행시 layerActivity 에러 (0) | 2019.05.30 |
---|---|
logger setting (0) | 2019.02.25 |
릴리즈 버전을 위한 키해시 등록방법 (0) | 2019.02.08 |
Retrofit2 + OkHttp3 (0) | 2018.09.06 |
keystore (0) | 2018.08.29 |
릴리즈 버전을 위한 키해시 등록방법
1 | keytool -list -keystore /Users/imcreator/MY_KEY.jks | cs |
다음과 같이 입력하면 내 keystore MY_KEY의 alias를 알 수 있습니다.
1 2 3 4 5 6 7 8 | 키 저장소 비밀번호 입력: 키 저장소 유형: JKS 키 저장소 제공자: SUN 키 저장소에 1개의 항목이 포함되어 있습니다. MY_KEY_ALIAS, 2017. 1. 19, PrivateKeyEntry, | cs |
이 다음 이 정보를 이용해 키 해시를 만들어 준다.
1 2 3 | keytool -exportcert -alias MY_KEY_ALIAS -keystore /Users/imcreator/MY_KEY.jks | openssl sha1 -binary | openssl base64 키 저장소 비밀번호 입력: 내비밀번호입력 echo 6A:76:2A:0C:C6:A5:37:86:68:16:01:19:B6:F9:7D:BB:82:CD:21:91 | xxd -r -p | openssl base64 |
출처: https://imcreator.tistory.com/99 [인문과 공학의 사이 어느 중간쯤]
'Android' 카테고리의 다른 글
logger setting (0) | 2019.02.25 |
---|---|
Logger.d (0) | 2019.02.25 |
Retrofit2 + OkHttp3 (0) | 2018.09.06 |
keystore (0) | 2018.08.29 |
Android Example (0) | 2018.04.19 |
Retrofit2 + OkHttp3
https://jongmin92.github.io/2018/01/29/Programming/android-retrofit2-okhttp3/
'Android' 카테고리의 다른 글
Logger.d (0) | 2019.02.25 |
---|---|
릴리즈 버전을 위한 키해시 등록방법 (0) | 2019.02.08 |
keystore (0) | 2018.08.29 |
Android Example (0) | 2018.04.19 |
Online mysql table to java class generator (0) | 2018.04.19 |
keystore
debug
keytool -exportcert -alias androiddebugkey -keystore C:\Users\user\.android\debug.keystore -storepass android -keypass android | openssl sha1 -binary | openssl base64
release
keytool -exportcert -alias couponstore2 -keystore C:\Project\key\key\coupon\couponstore.jks | openssl sha1 -binary | openssl base64
https://m.blog.naver.com/tkddlf4209/220684818671
keytool -exportcert -keystore /Users/unnamed/.android/debug.keystore -list -v
mac
keytool -exportcert -alias androiddebugkey -keystore "/Users/unnamed/.android" -storepass android -keypass android | openssl sha1 -binary | openssl base64
'Android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릴리즈 버전을 위한 키해시 등록방법 (0) | 2019.02.08 |
---|---|
Retrofit2 + OkHttp3 (0) | 2018.09.06 |
Android Example (0) | 2018.04.19 |
Online mysql table to java class generator (0) | 2018.04.19 |
apk 설치 (0) | 2017.06.07 |
nvm alias default 6.1.0
nvm alias default 6.1.0
'nodejs' 카테고리의 다른 글
letsencrypyt 인증서 갱신 (0) | 2019.05.27 |
---|---|
서버 세팅 (0) | 2018.06.20 |
디버그 with development (0) | 2018.06.19 |
pm2.json 파일 실행 (0) | 2018.04.19 |
pm2 node.js 버전 업데이트 (0) | 2018.03.26 |
vi 사용법
H명령모드에서 커서 이동 - 단어 단위 이동 w, b, $(행의 끝), 0 (행의 처음으로 이동) - G (파일의 끝), 1G (파일의 처음), 24G (24번째 행으로 이동)
:set number
x - 커서 문자 하나 삭제
X- 커서 앞문자 하나 삭제
u - 실행한 명령 취소
U- 커서가 있는 행에 실행된 명령 모두 취소
dw - 한 단어 삭제, 4개 단어 삭제
d0 - 커서 앞문자부터 행의 맨 앞까지 모두 삭제
d$ - 커서 문자부터 행의 맨 마지막까지 모두 삭제
dd - 커서 행 삭제, 커서행부터 4행 삭제
[2. 복사 - 붙여넣기] yw - 한 단어 복사 p - 커서 다음에 붙어 넣기, P - 커서 앞에 붙어넣기 yy - 커서가 있는 행 전체 복사 [3. 잘라내기 - 붙여넣기] x - p, P dw - p, P dd - p, P
문자열검색
/키워드
'Linux' 카테고리의 다른 글
환경변수 (0) | 2018.07.27 |
---|---|
lets encrypt 설치 (0) | 2018.05.17 |
WinSCP 를 이용한 FTP 동기화 (0) | 2018.05.13 |
crontab 추가 (0) | 2018.05.13 |
iwinV 포트 경로 (0) | 2018.03.28 |
원격 저장소 추가 방법
1. local to remote
git remote add origin(별명) 주소
git push -u origin master (처음한번만)
git push (두번째 부터)
2. remote to local
git clone 주소
'git' 카테고리의 다른 글
merge tool (0) | 2018.08.08 |
---|---|
branch (0) | 2018.08.07 |
실행순서 (0) | 2018.08.07 |
git password 저장 (0) | 2017.11.06 |
git config 계정설정 (0) | 2017.11.06 |
merge tool
git config --global merge.tool kdiff3
git mergetool
'git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원격 저장소 추가 방법 (0) | 2018.08.08 |
---|---|
branch (0) | 2018.08.07 |
실행순서 (0) | 2018.08.07 |
git password 저장 (0) | 2017.11.06 |
git config 계정설정 (0) | 2017.11.06 |
branch
1. exp branch 생성
git branch exp
2. exp 를 master 로 머지
git checkout master
git merge exp
3. master 를 exp 로 머지
git checkout exp
git merge master
4. exp branch 삭제
git checkout master
git branch -d exp
'git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원격 저장소 추가 방법 (0) | 2018.08.08 |
---|---|
merge tool (0) | 2018.08.08 |
실행순서 (0) | 2018.08.07 |
git password 저장 (0) | 2017.11.06 |
git config 계정설정 (0) | 2017.11.06 |
실행순서
git init
vi test
git status
git add test
git status
git config --global user.name tnsdnjs
git config --global user.email sonagisw@hotmail.com
git commit
vim 창 (1.블라블라)
git log
vi test (커맨트 수정)
git status
git add test (파일 수정후 git commit 이 아니라 git add 파일명 해줘야 함)
git status
git commit
vim 창 (2.파일수정)
git status
'git' 카테고리의 다른 글
merge tool (0) | 2018.08.08 |
---|---|
branch (0) | 2018.08.07 |
git password 저장 (0) | 2017.11.06 |
git config 계정설정 (0) | 2017.11.06 |
repository not found (0) | 2017.11.06 |
부하발생 명령어
환경변수
JAVA_HOME이라는 환경변수명에 값은 /usr/lib/jvm/java-7-openjdk-amd64/ 으로 설정하고자 하면 아래 명령어를 사용하세요.
export JAVA_HOME=/usr/lib/jvm/java-7-openjdk-amd64/
env | grep JAVA_HOME 으로 제대로 환경변수가 올라갔는지 확인해보면
JAVA_HOME=/usr/lib/jvm/java-7-openjdk-amd64/
으로 나오면 제대로 설정된 것입니다.
'Linux' 카테고리의 다른 글
vi 사용법 (0) | 2018.08.13 |
---|---|
lets encrypt 설치 (0) | 2018.05.17 |
WinSCP 를 이용한 FTP 동기화 (0) | 2018.05.13 |
crontab 추가 (0) | 2018.05.13 |
iwinV 포트 경로 (0) | 2018.03.28 |
서버 세팅
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 서버 시작시 mysql 세팅 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
Host is blocked because of many connection errors; unblock with \'mysqladmin flush-hosts\'
1. flush-hosts
mysqladmin -u root -p flush-hosts
2. sudo mysql -u root -p
mysql> set global max_connections=999999;
mysql> set global max_connect_errors=999999;
mysql> show variables like '%max_connect%';
3. 접속자수 조회
mysql> show status like '%CONNECT%';
+--------------------------+-------+
| Variable_name | Value |
+--------------------------+-------+
| Aborted_connects | 200 |
| Connections | 300 |
| Max_used_connections | 101 | ==> 현재 연결된 접속수
| Ssl_client_connects | 0 |
| Ssl_connect_renegotiates | 0 |
| Ssl_finished_connects | 0 |
| Threads_connected | 101 | ==> 연결되었던 최대 접속수
+--------------------------+-------+
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 https 서버 80 포트 deny 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
sudo setcap 'cap_net_bind_service=+ep' /home/ubuntu/.nvm/versions/node/v8.11.1/bin/node
sudo setcap 'cap_net_bind_service=+ep' `which node`
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 mysql log 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
mysql/lib/Connection.js 204 라인 추가
console.log(query.sql);
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 ubuntu timezone 변경 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
sudo ln -sf /usr/share/zoneinfo/Asia/Seoul /etc/localtime
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 node mode 변경 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
윈도
set NODE_ENV=production
set NODE_ENV=development
linux
export NODE_ENV=production
export NODE_ENV=development
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 aws instance 변경 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
1. 이미지로부터 instance 생성
2. 인스턴스 elastic ip 연결 해제
3. 탄력적 ip - 인스턴스 연결
4. 대상그룹 생성
5. 로드 발란서 생성
6. Route 53 - A 레코드 삭제
7. 레코드셋 추가
8. ssh 접속후 pm2 start
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 aws 소스 반영 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
1. origin instance 에 소스 업로드
2. 이미지 생성
3. 이미지로부터 instance 생성
'nodejs' 카테고리의 다른 글
letsencrypyt 인증서 갱신 (0) | 2019.05.27 |
---|---|
nvm alias default 6.1.0 (0) | 2018.08.19 |
디버그 with development (0) | 2018.06.19 |
pm2.json 파일 실행 (0) | 2018.04.19 |
pm2 node.js 버전 업데이트 (0) | 2018.03.26 |
디버그 with development
- Updated launch.json as follows:
{
"version": "0.2.0",
"configurations": [
{
"env": {
"NODE_ENV": "development"
},
},
'nodejs' 카테고리의 다른 글
nvm alias default 6.1.0 (0) | 2018.08.19 |
---|---|
서버 세팅 (0) | 2018.06.20 |
pm2.json 파일 실행 (0) | 2018.04.19 |
pm2 node.js 버전 업데이트 (0) | 2018.03.26 |
pm2 로그보기 (0) | 2018.02.26 |
blocked because of many connection errors
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 서버 시작시 mysql 세팅 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
Host is blocked because of many connection errors; unblock with \'mysqladmin flush-hosts\'
1. flush-hosts
mysqladmin -u root -p flush-hosts
2. sudo mysql -u root -p
set global max_connections=999999;
set global max_connect_errors=999999;
show variables like '%max_connect%';
3. 접속자수 조회
mysql> show status like '%CONNECT%';
+--------------------------+-------+
| Variable_name | Value |
+--------------------------+-------+
| Aborted_connects | 200 |
| Connections | 300 |
| Max_used_connections | 101 | ==> 현재 연결된 접속수
| Ssl_client_connects | 0 |
| Ssl_connect_renegotiates | 0 |
| Ssl_finished_connects | 0 |
| Threads_connected | 101 | ==> 연결되었던 최대 접속수
+--------------------------+-------+
'mysql' 카테고리의 다른 글
mac mysql 삭제 (0) | 2018.01.21 |
---|---|
그룹내 시퀀스 생성 (0) | 2017.03.09 |
lets encrypt 설치
git clone https://github.com/letsencrypt/letsencrypt
cd letsencrypt
./letsencrypt-auto certonly
1번(standalone) 선택
A : 약관 동의
이메일 주소 입력
도메인 입력
sudo ./certbot-auto certonly --standalone -d 도메인주소
npm install auto-sni --save
npm install le-acme-core
-- 443 포트 permission deny
sudo setcap 'cap_net_bind_service=+ep' $(readlink -f $(which node))
'Linux' 카테고리의 다른 글
vi 사용법 (0) | 2018.08.13 |
---|---|
환경변수 (0) | 2018.07.27 |
WinSCP 를 이용한 FTP 동기화 (0) | 2018.05.13 |
crontab 추가 (0) | 2018.05.13 |
iwinV 포트 경로 (0) | 2018.03.28 |
WinSCP 를 이용한 FTP 동기화
https://andromedarabbit.net/winscp-%EB%A5%BC-%EC%9D%B4%EC%9A%A9%ED%95%9C-ftp-%EB%8F%99%EA%B8%B0%ED%99%94/
'Linux' 카테고리의 다른 글
환경변수 (0) | 2018.07.27 |
---|---|
lets encrypt 설치 (0) | 2018.05.17 |
crontab 추가 (0) | 2018.05.13 |
iwinV 포트 경로 (0) | 2018.03.28 |
포트 변경 (0) | 2017.12.12 |
crontab 추가
1. sudo vi /etc/crontab
2. .sh 파일 작성
3. backup 폴더 생성
4. chmod 755
5. systemctl restart cron
'Linux' 카테고리의 다른 글
lets encrypt 설치 (0) | 2018.05.17 |
---|---|
WinSCP 를 이용한 FTP 동기화 (0) | 2018.05.13 |
iwinV 포트 경로 (0) | 2018.03.28 |
포트 변경 (0) | 2017.12.12 |
계정 변환 (0) | 2017.11.15 |
pm2.json 파일 실행
pm2 start pm2.json
'nodejs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서버 세팅 (0) | 2018.06.20 |
---|---|
디버그 with development (0) | 2018.06.19 |
pm2 node.js 버전 업데이트 (0) | 2018.03.26 |
pm2 로그보기 (0) | 2018.02.26 |
pm2 (0) | 2018.02.22 |
Android Example
https://www.javatpoint.com/android-call-state-example
'Android' 카테고리의 다른 글
Retrofit2 + OkHttp3 (0) | 2018.09.06 |
---|---|
keystore (0) | 2018.08.29 |
Online mysql table to java class generator (0) | 2018.04.19 |
apk 설치 (0) | 2017.06.07 |
로컬서버 모바일에서 돌리기 (0) | 2017.05.08 |
Online mysql table to java class generator
http://tools.knowledgewalls.com/mysqltabletojavaclass
'Android' 카테고리의 다른 글
keystore (0) | 2018.08.29 |
---|---|
Android Example (0) | 2018.04.19 |
apk 설치 (0) | 2017.06.07 |
로컬서버 모바일에서 돌리기 (0) | 2017.05.08 |
view 가운데 놓기 (0) | 2017.04.23 |
iwinV 포트 경로
/etc/iptables/rules.v4
리셋
netfilter-persistent reload
'Linux' 카테고리의 다른 글
WinSCP 를 이용한 FTP 동기화 (0) | 2018.05.13 |
---|---|
crontab 추가 (0) | 2018.05.13 |
포트 변경 (0) | 2017.12.12 |
계정 변환 (0) | 2017.11.15 |
history 검색 (0) | 2017.03.28 |